대왕참나무

2019. 8. 22. 08:52꽃피는 마을

#참나무과
대왕참나무





Quercus palustris Munchh
바늘잎참나무, 월계관수, 핀오크, 핀참나무, Pin Oak
♣ 90년대 초 조경용으로 도입한 참나무속(─屬 Quercus)의 붉은참나무(red oak) 무리에 속하는 2종(種)의 북아메리카(미국의 중북부에서 캐나다)원산의 낙엽 활엽 교목, 고지대 습지에 자생, 좁은 원추형으로 곧게 자라고 수고가 25~30m까지(40m까지 자란다는 말도 있다.) 자라는 속성수이다. 가느라란 잔 가지가 줄기가 큰 가지에 핀처럼 튀어나와 핀참나무라 한다. 성목이 되면서 아래 부분의 가지는 처지고 중간 부분은 수평으로 자라며, 윗부분은 위를 향하여 자란다. 낙엽이 진 후에는 수피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 된다.
♣ 잎은 타원형으로 녹색으로 광택이 나며  王자 모양으로 갈라져 있고 얼핏 보면 단풍나무 잎을 닮았다. 길이가 13㎝ 정도인데, 가운데 엽 맥 근처까지 5~7갈래로 잘게 갈라져 있으며 열편(갈라진) 끝부분은 가시 같은 침이 있다. 가을에 노란색, 주홍색 또는 연갈색으로 물드는데 종종 자주색의 얼룩이 생기기도 한다.
♣ 타원형의 암갈색 도토리는 아래쪽 거의 반 정도가 비늘로 된 얕게 팬 깍정이[殼斗]에 싸여 있다.
♣ 평지에서는 잘 자라지만 해발 100미터가 넘으면 잘 자라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다.
♣ 한국에서 대왕참나무로 불리는 수종은 핀오크와 루브라참나무가 있는데, 루브라 참나무(rubra oak)는 결각이 깊지 않고 잎이 넓다.
♣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 선수가 마라톤에서 우승했을 때 월계관에 꽂았던 나무가 바로 이 대왕참나무라고 한다. 우승을 기념하기 위하여 서울의 양정고등학교 교정에 심었는데, 이 나무가 우리나라에 있는 대왕참나무 중 제일 오래된 나무이다.
♣ 토심이 깊은 곳에서 잘 자라는 '대왕참나무'는 탄소를 많이 흡수하는 수종으로 숲을 통한 탄소 흡수원과 도시온도를 낮추어 지구온난화 극복에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졌다.


<유사종>
* 쿠에르쿠스 팔루스트리스(Q. palustris) : 미국 동부와 중부의 저지대와 축축한 고지대에서 자란다. 25m 정도이지만 35m까지 자라기도 하며, 수관(樹冠)은 넓고 피라미드 모양이며 줄기 아래쪽의 가지가 아래로 처진다. 거(距)처럼 생긴 가느다란 잔 가지가 줄기와 큰 가지에 핀처럼 튀어나와 있다. 핀오크(pin oak)라는 말은 특히 쿠에르쿠스 팔루스트리스(Q. palustris)를 지칭한다.
* 쿠에르쿠스 엘립소이달리스(Q. ellipsoidalis)도 잔가지가 핀처럼 튀어나와 있지만 대개 건조한 고지대에서 자란다. 타원형의 도토리는 거의 반 정도가 비늘로 된 깍정이로 싸여 있다. 잎은 가을에 노란색 또는 연갈색으로 물드는데 종종 자주색의 얼룩이 생기기도 한다.


<미국원산으로 구분이 어려워 '대왕참나무'로 불리는 나무들>
* 대왕참나무(pin oak) : 대왕참나무는 열매가 납작하고, 잎은 결각이며 평행한 형태인데 비해 루브라참나무(Red oak)는 열매가 길쭉하고 상수리보다도 더 크며, 잎은 결각이 이어진다. 또한 줄기에 달린 가지의 각도가 90도에 가까우면 대왕참나무, 45도 정도면 루브라 참나무이다.
* 루브라참나무(Red oak) : 루브라참나무와 대왕참나무(pin oak)를 한국에서는 대부분 대왕참나무로 부르나 둘은 비슷하나 분명 다른 나무다. 루브라참나무의 잎 갈라짐이 더 심하며 상수리도 크고 이름처럼 붉다.
* 미국참나무(Quercus alba, 떡갈나무 잎 흡사)


'꽃피는 마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노랑상사화  (0) 2019.09.11
배초향  (0) 2019.09.05
털부처꽃   (0) 2019.08.20
수세미오이  (0) 2019.08.19
  (0) 2019.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