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1. 6. 22:29꽃피는 마을

#콩과





Glycine max (L.) Merr. 
풋베기콩, 대두, 大豆 , bean, soyabean
♣ 전국 각지의 밭에서 재배하는 만주  원산(일반적으로 어떤 식물의 야생종·중간종·재배종이 가장 많은 곳을 그 식물의 발상지로 삼는다. 이 조건에 맞추어 중국의 동북부, 한반도 북부지방이라고 보는 것이 통설이다.)의 한해살이풀,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잎과 더불어 갈색 털이 있다.
♣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3출복엽이며 소엽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작은잎턱잎은 선형이다.
♣ 꽃은 7-8월에 피며 자줏빛이 도는 홍색 또는 백색이고 접형이며 잎겨드랑이에서 자라는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鍾形)이며 5조각으로 갈라지고 열편 중에서 밑의 것이 가장 길며 기꽃잎은 넓고 끝이 파지며 날개꽃잎은 기꽃잎보다 짧고 용골꽃잎이 가장 짧다. 수술은 10개로서 각각 2개로 갈라진다.
♣ 협과는 짧은 대가 있고 편평한 선상 타원형이며 거친 털이 나 있고 1-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를 대두(大豆)라 하며 黑大豆(흑대두), 黃大豆(황대두), 황백색, 연한 갈색, 녹색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주요 작물의 하나이다.
♣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무렵부터 재배되었고, 유럽에는 1690년경에 독일에 처음으로 전파되었고, 미국에는 1804년경에 처음으로 알려져 1900년경부터 널리 재배되었으며, 현재 세계 총생산량 중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 한국의 콩 - 한국에서 자라거나 심고 있는 것으로는 덩굴강낭콩을 비롯하여 팥(P. angularis)·새팥(P. nipponensis)·덩굴팥(P. calcaratus)·강낭콩(P. vulgaris var. humilis)·붉은강낭콩(P. multiflorus)·편두 등이 있다. 이중 새팥만이 원래 한국에서 자라던 것이고 나머지는 모두 인도나 중국 등에서 들어온 종(種)들이다.


<유사종>
* 돌콩

'꽃피는 마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낙상홍 '윈터 레드'  (0) 2019.11.14
청까실쑥부쟁이(이명)  (0) 2019.11.14
감나무  (0) 2019.11.06
좁은잎해바라기  (0) 2019.11.05
춘추벚나무 '아우툼날리스'  (0) 2019.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