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3. 19. 23:04ㆍ꽃피는 마을
#소나무'일엽송'
Pinus densiflora 'Monophylla'
모노파일라소나무(single-leaf pinyon pine), one-leaf pine
♣ 미국의 애리조나주나 유타주의 산에 자라는 소나무속(Pinus)의 식물, 아속(Subgenus) : Strobus/절(Section) : Parrya 1~5엽송 미국남서부와 멕시코/아절(Subsection) : Cembroides멕시코, 미국 남서부 자생종/종(Speceies) : P. monophylla ? single-leaf pinyon
♣ 소나무는 한 곳에 나는 솔잎(針葉)의 수에 따라 종류를 나누는데
-일엽송(一葉松): 우리나라에 일엽송은 없다. 미국 남서부 자생종이다. 비교적 키가 낮은 나무로 해부학적으로 보면, 원래 두 개로 갈라질 운명의 것이었으나 갈라지지 못한 상태로 되었다.
-이엽송(二葉松): 우리나라의 적송, 곰솔, 유럽소나무 등이다. 우리 나라에 많은 소나무와 해송, 그리고 만주에 나는 만주흑송은 모두 이엽송이다.
-삼엽송(三葉松): 리기다소나무, 대왕송(大王松), 테다소나무, 백송(白松, 6백년쯤 전에 중국에서 가져다 심은 것으로 줄기가 눈처럼 희고 껍질이 비늘처럼 벗겨진다.)이 있으며 폰데로사소나무, 제프리소나무 따위로 주로 미국에서 건너온 것들이다.
-오엽송(五葉松): 잣나무, 섬잣나무, 눈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등을 말한다.
♣ 크게 나눈다면 이엽송과 5엽송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엽송은 솔잎 속에 관다발(管束)이 2개가 있는데 오엽송은 잎 속에 관다발이 하나밖에 없다. 잎이 3개인 백송은 잎속에 관다발이 하나밖에 없다. 이 이유로 말미암아 오엽송으로 다루기도 한다. 그러나 리기다나 테다소나무는 잎이 3개씩이지만 잎 속의 관다발은 2개가 있으므로 이엽송의 종류로 분류된다.
-따라서 솔잎의 수보다는 관다발의 수가 가까운 친척을 찾아내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백송은 잣나무(오엽송)와 수정 가능성은 높아도 소나무나 해송과는 수정 가능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유사종>
재배식물 Pinus thunbergii 'Monophylla' 곰솔 '모노필라' Japanese black p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