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2. 11. 07:46ㆍ꽃피는 마을
#국화과
로메인상추
L.sativa var. longifolia
코스상추, Cos lettuce, romaine lettuce
♣ 1년생 샐러드용 엽채류로서 재배식물인 상추의 변종으로 줄기는 곧게 서며 반들반들하며 털이 없으며 어릴 때는 죽순처럼 막대기 모양이다. 키는 1미터까지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가 자라서 꽃자루가 되고 윗부분이 분지되며 꽃이 핀다.
♣ 근생엽(根生葉)은 타원형으로서 크지만 경생엽(莖生葉)은 점차 작아지며, 윗부분의 것은 밑부분이 화살 밑처럼 되어 원줄기를 감싸고 양면에 주름이 많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을 잘랐을 때 흰 유액이 나온다.
♣ 꽃은 6~7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꽃은 양성이고 모두 혀모양 꽃이다. 수술은 5개이고 씨방은 밑에 있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 열매는 수과(瘦果)로 끝에 긴 부리가 있고 능선이 있으며, 그 끝에 백색 관모가 낙하산처럼 퍼져 있다.
♣ 로메인상추(영어: Romaine lettuce 로메인 레터스)는 배추상추(L.sativa var. longifolia)의 재배품종이다. 배추상추는 결구가 크고 장방형이며 성글다. 로마인의 상추'라는 뜻으로 로마인들이 대중적으로 즐겨 먹던 상추라 하여 ‘로메인’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그리스 도데카니소스 제도에 있는 코스 섬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어서 코스 상추라고도 한다.
♣ 국내에서 접할 수 있는 로메인은 크게 적로메인(시저스레드, 2014년 11톤), 청로메인(2014년 275톤)과 미니로메인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일반 상추보다 쓴맛이 덜하며 고소하다. 즙이 많으며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하기 때문에 주로 쌈채나 샐러드로 섭취한다.
♣ 전세계의 상추의 종류는 130가지나 되며 보통 6가지로 분류하는데 Rodenburg(1960)는 결구(Crisp head)상추, 버터헤드(Butter head)상추, 코스 또는 로메인(Cos or Romaine)상추, 잎(Leaf)상추, 줄기(Stem)상추, 그리고 라틴(Latin)상추로 나누며 더 세분할 경우 기름용으로 이용되는 오일시드(Oil-seed)상추를 포함하기도 한다.
♣ 북미지역에서는 장출혈성 대장균감염 수질오염에 의한 이콜라이 중독환자가 발생햐여 "로메인상추 절대로 먹지 말라"는 경고로 논란이 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 북미산 로메인상추는 수입되지 않는다.
♣ 로메인상추는 대부분의 상추 종류와 다르게 열에 강하다. 맛이 쌉쌀하고 향긋하며, 잎이 아삭아삭하고 단단하여 시저 샐러드용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대개는 샐러드로 많이 소비되고 있지만 조리용 채소로 쓰이기도 한다. 로메인상추는 항산화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암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추의 변종>
① 줄기상추(L.sativa var. asparagina):잎이 가늘고 두꺼운 다육질의 줄기를 먹을 수 있다. (치마상추·뚝섬녹축면상추·적축면상추)
② 결구(結球)상추(L.sativa var. capitata):잎이 포개져 단단하게 결구되어 있다.
-반형결구상추(butter-head type) : 기름기가 많은 두꺼운 잎들이 모여서 된 부드러운 결구
-결구상추(crisp-head type) : 부스러지기 쉬운 잎이 적당한 온도 조건에서 아주 단단한 결구 (그레이트, 레이크·, 팬레이크)
③ 잎상추(L.sativa var. crispa):로제트형으로 나는 잎이 곱슬곱슬하며 길게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참나무잎처럼 생겼다.
④ 배추상추(L.sativa var. longifolia):부드러운 잎이 포개져 된 결구가 크고 장방형이며 성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