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단나무

2019. 12. 14. 23:34꽃피는 마을

#황단나무(미기록종, 도입종)





Dalbergia hupeana Hance/이명 Dalbergia sacerdotum Prain
중국회화나무, 백단(白檀)、단수(檀樹), 황목(黃木), 黃檀,  Hardy Rosewood, キャッシュ
♣ 낮은 산지에 자라는 콩과(Leguminosae) 황단나무속(Dalbergia)의 낙엽활엽교목, 남원과 광주 식재, 유달산 자생이 2015년 최초 보고됨, 10-20m까지 자란다. 수피는 암회색~회갈색이고 얇은 조각 모양으로 세로로 벗겨져 떨어진다. 어린 가지는 엷은 녹색을 띠며 털이 없다.
♣ 소엽(=작은잎) 7~11개로 이루어진 홀수깃꼴겹잎으로 전체 길이는 15-25cm, 소엽은 어긋나고 약간 가죽질이며 타원형 내지 직사각형에 가까운 타원형이고, 길이 3.5~6cm에 너비 2.5-4cm이며, 끝은 둔하거나 간혹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소엽 기부는 원형 혹은 넓은 쐐기형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는맥이 융기해 있고 표면에 광택이 약간 있다.
♣ 7~8월에 흰색 꽃이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은 길이 8~10mm이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끝이 5갈래로 갈라지고, 꽃잎은 흰색으로 연한 자주색 줄무늬가 있다. 수술은 5개씩 2개로 이루어진 양체수술(diadelphous)이다. 열매는 편편한 꼬투리로 타원형이며 1~2개의 씨가 들어 있다.
♣ 결실기는 10~11월, 열매는 가죽나무랑 비슷하다.
♣ 잎은 회화나무와 비슷하고 꽃은 아까시나무와 비슷하나 아카시는 여름에 개화하고 소엽의 갯수가 적다.
♣ 황단나무란 이름은 중국식 한자명인 黃檀에서 온 것으로 목재가 노란색을 띠는 데서 연유한다.
♣ 속명 Dalbergia는 스웨덴의 식물학자/채집가였던 Nils and Carl Dalberg 형제의 이름에서 유래하며, 종소명 hupeana는 중국의 호북성(湖北省) 지역을 의미한다.

'꽃피는 마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나무  (0) 2019.12.16
네군도단풍   (0) 2019.12.15
오크리프상추  (0) 2019.12.13
목화  (0) 2019.12.12
멕시칸세이지  (0) 2019.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