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26. 19:19ㆍ♡야생화
#긴꽃뽀리뱅이 (추천명, 2009)
Youngia japonica subsp. longiflora Babc. & Stebbinns.
뽀리뱅이, 그늘보리뺑이, Long-head oriental false hawksbeard
♣ 전남, 경기(성남) 등에 자라는 국화과 치커리아과 치커리족 뽀리뱅이속(Youngia)의 재배종 두해살이풀, 줄기에 털이 있고 30-40cm 정도이다. 줄기잎은 없거나 1개 정도 있다.
♣ 잎은 뽀리뱅이의 잎과 거의 유사하다.
♣ 꽃은 5월에서 10월 사이에 개화한다. 화서는 줄기 및 가지에 정생하고, 5-8개의 두상화가 산방상으로 달린다. 선형의 포가 있고, 무모이다. 두상화는 지름 1.5cm 이상이고, 5-20개의 소화로 구성된다. 화판은 황색으로, 끝이 5열한다. 총포는 원주형이며, 총포편은 4열로 배열된다. 총포는 길이 6-7mm이다. 소설편은 길이 7.7-9.5mm이며, 약통은 길이 약 3mm 이상이다. 관모는 옅은 갈색, 길이 3-3.2mm이다.
♣ 수과는 길이 2-2.5mm 갈색이며, 방추형이고, 무모이다. 관모는 옅은 갈색이다.
* 긴꽃뽀리뱅이라는 이름은 머리모양꽃차례의 지름이 보리뱅이에 비해 긴 특징에서 붙여졌다.
* 뽀리뱅이속(Youngia)은 국화과의 한 속이며 인도 시스파라 봉에 서식하며 멸종 위기인 Youngia nilgiriensis와 뽀리뱅이가 이 속에 속한다. 대한민국에는 뽀리뱅이와 재배 품종인 긴꽃뽀리뱅이(Youngia japonica subsp. longiflora Babc. & Stebbins)가 서식한다.
* 1831년에 카시니(H. Cassini)가 처음 보고했는데 그것은 뒤에 크레피스속(Crepis)에 속하게 되었다. 1930년대에 밥콕(E. B. Babcock)과 스테빈스(G. Ledyard Stebbins)가 분류학과 세포 유전학 연구를 하여 뽀리뱅이속을 재분류했다.
<유사종>
* 뽀리뱅이 : 두화의 지름이 지름 7~8mm이다.천명, 2009)
Youngia japonica subsp. longiflora Babc. & Stebbinns.
뽀리뱅이, 그늘보리뺑이, Long-head oriental false hawksbeard
♣ 전남, 경기(성남) 등에 자라는 국화과 치커리아과 치커리족 뽀리뱅이속(Youngia)의 재배종 두해살이풀, 줄기에 털이 있고 30-40cm 정도이다. 줄기잎은 없거나 1개 정도 있다.
♣ 잎은 뽀리뱅이의 잎과 거의 유사하다.
♣ 꽃은 5월에서 10월 사이에 개화한다. 화서는 줄기 및 가지에 정생하고, 5-8개의 두상화가 산방상으로 달린다. 선형의 포가 있고, 무모이다. 두상화는 지름 1.5cm 이상이고, 5-20개의 소화로 구성된다. 화판은 황색으로, 끝이 5열한다. 총포는 원주형이며, 총포편은 4열로 배열된다. 총포는 길이 6-7mm이다. 소설편은 길이 7.7-9.5mm이며, 약통은 길이 약 3mm 이상이다. 관모는 옅은 갈색, 길이 3-3.2mm이다.
♣ 수과는 길이 2-2.5mm 갈색이며, 방추형이고, 무모이다. 관모는 옅은 갈색이다.
* 긴꽃뽀리뱅이라는 이름은 머리모양꽃차례의 지름이 보리뱅이에 비해 긴 특징에서 붙여졌다.
* 뽀리뱅이속(Youngia)은 국화과의 한 속이며 인도 시스파라 봉에 서식하며 멸종 위기인 Youngia nilgiriensis와 뽀리뱅이가 이 속에 속한다. 대한민국에는 뽀리뱅이와 재배 품종인 긴꽃뽀리뱅이(Youngia japonica subsp. longiflora Babc. & Stebbins)가 서식한다.
* 1831년에 카시니(H. Cassini)가 처음 보고했는데 그것은 뒤에 크레피스속(Crepis)에 속하게 되었다. 1930년대에 밥콕(E. B. Babcock)과 스테빈스(G. Ledyard Stebbins)가 분류학과 세포 유전학 연구를 하여 뽀리뱅이속을 재분류했다.
<유사종>
* 뽀리뱅이 : 두화의 지름이 지름 7~8m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