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5250)
-
쑥부쟁이
#쑥부쟁이 Aster yomena (Kitam.) Honda 권영초, 마란(馬蘭), 쑥부장이, 왜쑥부쟁이, 푸른산국, Aster yomena, Korean aster, ヨメナ ♣ 양지바르고 부식질이 많으며 배수가 잘되는 절개지나 언덕 또는 척박지에서 잘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띠며, 곧추서고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원줄기가 처음 나올 때는 붉은빛이 강하며 점차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띤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 긴타원모양이며 길이는 8~10cm, 나비는 3cm내외이다. 끝은 뾰족하며 밑은 좁아져 엽병처럼 된다. 표면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거친 거치가 있고 위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 꽃은 7∼10월에 연한 자색(혀꽃), 노란색(통상..
2023.09.24 -
좀돌팥
#좀돌팥 Vigna minima (Roxb.) Ohwi & H. Ohashi Common Asian cowpea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들판에 자라는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줄기는 덩굴성이다. ♣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2-7cm, 폭 0.5-3.0cm, 변이가 심하며, 양면에 거센 털이 있다. 턱잎은 피침형으로 길이 4mm쯤이다. ♣ 꽃은 8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부리는 길이 10mm쯤이다. ♣ 열매는 협과, 길이 3.5-6.5cm, 폭 0.4cm, 흑갈색 씨가 4-8개가 들어 있다. 9월에 익는다. * 새팥(V. angularis var. nipponensis)에 비해 잎 가장자리에 거치가..
2023.09.24 -
석산
#석산 Lycoris radiata (L'Her.) Herb. 가을가재무릇, 꽃무릇, 독무릇, 돌마늘, 산두초, 산오독, 용조화, 조산(鳥蒜), 지옥꽃, 촉산, 石蒜, Cluster amaryllis ♣ 남부지방의 습한 야지나 풀밭에서 무리지어 자라며 사찰이나 민가의 정원에 흔히 재식하는 양쯔강 원산의 수선화과 여러해살이풀, 꽃대는 높이 30~50cm, 비늘줄기는 지름 3~4cm로서 달걀모양이며 외피가 흑갈색이다. ♣ 잎은 광택이 나는 짙은 녹색이고 길이 30~40cm, 폭 15mm정도로서 넓은 선상이며 다음해 봄에 사라진다. ♣ 9~10월에 잎이 없어진 비늘줄기에서 꽃대가 나와 길이 30-50cm정도 자라며 큰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총포는 넓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2-3cm로서 막질이며 꽃자루..
2023.09.23 -
붉은토끼풀
#붉은토끼풀 Trifolium pratense L. 홍삼엽, 紅三葉, 금화채, 金花菜, red clover , アカツヌクサ ♣ 유럽 원산의 목초로서 거의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다소 있고 곧추 30-60cm정도 자라며 가지가 갈라진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장상3출복엽이고 소엽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저(銳底) 또는 원저(圓底)에 둔두(鈍頭) 또는 요두(凹頭)이고 길이 3-5cm, 넓이 1-3cm로서 가장자리 측맥끝이 세거치상(細鋸齒狀)으로 돌출되었다. 잎표면에 흰 무늬가 있고 양면에 털이 소생하며 탁엽은 달걀모양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졌다. ♣ 꽃은 6-7월에 피고 줄기 또는 가지끝에 자주빛 또는 붉은 자줏빛 접형화(蝶形花)가 산형으로 밀집..
2023.09.23 -
도깨비바늘
#도깨비바늘 Bidens bipinnata L. 귀침(鬼針), 귀침채, 귀침초, 남풍초(南風草), 도깨비바눌, 맹장초, 바늘다사리 바늘닥사리, 육장초(育腸草), 좀도개비바늘, 좀도깨비바늘, 좀독개비바눌, 차귀사리, 참귀사리, 파파침, Bidens bipinnata, Spanish Needles, せんだんぐさ ♣ 전국 산야의 습지나 빈터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높이가 25-85cm에 달하며 원줄기는 네모지고 거의 털이 없다. ♣ 잎은 마주나기하며 중앙부의 것은 길이 11-19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첫째 열편은 2-3개이거나 우상으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에 치아모양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5cm이다. ♣..
2023.09.23 -
장대여뀌
#장대여뀌 Persicaria posumbu var. laxiflora (Meisn.) H. Hara 꽃여뀌, 장대역귀, 장때여뀌, 줄여뀌, 총지료(丛枝蓼), Tall smartweed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산지의 숲가장자리 응달에서 자라는 마디풀과의 1년생 초본, 높이 35-60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서고 때로는 땅에 닿은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달걀모양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양끝이 길게 좁아지고 길이 3-7cm, 폭 1.5-3cm로서 양면에 약간의 털이 있으며 뒷면에 간혹 흑색 반점이 있고 엽병은 짧으며 잎집의 탁엽은 길이 3-8mm이고 이와 비슷한 길이의 연모(緣毛)가 있다. ♣ 꽃은 6-9월에 피며 가지 끝에 달리는 꽃차례는 선형(線形..
20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