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피는 마을(1267)
-
황단나무
#황단나무 Dalbergia hupeana Hance/이명 Dalbergia sacerdotum Prain 중국회화나무, 백단(白檀)、단수(檀樹), 황목(黃木), 黃檀, Hardy Rosewood, キャッシュ ♣ 낮은 산지에 자라는 콩과(Leguminosae) 황단나무속(Dalbergia)의 낙엽활엽교목, 미기록 도입종, 남원과 광주 식재, 유달산 자생이 2015년 최초 보고됨, 10-20m까지 자란다. 수피는 암회색~회갈색이고 얇은 조각 모양으로 세로로 벗겨져 떨어진다. 어린 가지는 엷은 녹색을 띠며 털이 없다. ♣ 소엽(=작은잎) 7~11개로 이루어진 홀수깃꼴겹잎으로 전체 길이는 15-25cm, 소엽은 어긋나고 약간 가죽질이며 타원형 내지 직사각형에 가까운 타원형이고, 길이 3.5~6cm에 너비 2...
2020.06.22 -
에키네시아
#에키네시아 Echinacea purpurea (L.) Moench 에키나세아, 자주천인국, 자주루드베키아, 자주원추천인국, 드린국화, 솔방울꽃, Purple cornflower, Pinewood Coneflower ♣ 미국(오하이오 주, 루이지애나 주, 조지아 주) 원산으로 노지에서 월동하며 건조한 듯한 토양에서 잘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허브식물이며 원산지에는 30 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높이 60~150cm, 줄기는 곧게 자라며, 자갈색 줄기에 거친 털이 촘촘히 달려 있다. ♣ 잎은 호생한다. 8~15cm로 난상 피침형으로 거친 털이 있고 톱니가 있다. ♣ 6~10월에 줄기나 가지 끝에 두상화가 피며, 중심부의 관상화는 자갈색으로 금속성 광택이 나고 자갈색(紫褐色)이 난다. 설상화 꽃잎은 자..
2020.06.21 -
느티나무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광엽거수, 굴목낭, 귀목나무, 규목(槻木), 느틔나무, 대엽수, 궤목(樻木), 정자나무, Sawleaf Zelkova, Japanese zelkova, Zelkova Tree, 槐木, ケヤキ櫸 ♣ 황해도, 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및 전라북도 등에 분포하는 느릅나무과 느티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 수형은 원개형, 가지의 신장은 분산형, 높이 26m, 지름 3m이고 나무껍질은 평활하나 비늘처럼 떨어지고 껍질눈은 옆으로 길어지며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끝으로 갈수록 가는 가지로 갈라진다. 일년생가지는 가늘고 어린 것은 잔털이 있다. 원뿌리와 곁뿌리가 잘 발달되어 있다. 천근성이고 발근력이 발달되어 있다. 나무껍질은 오랫동안 평활하나, 비늘처럼..
2020.06.20 -
미국낙상홍 '윈터 레드'
#미국낙상홍 '윈터 레드' Ilex verticillata 'Winter Red' 윈터레드 ♣ 감탕나무과의 낙엽 활엽 관목, 낙상홍은 서리가 내려도 붉은 열매로 달려 있다고 낙상홍이라 하고 낙상홍(落霜紅)으로 표기한다. 일본에서 들여온 원예종인데 미국에서 들여온 종류도 있다. 아마 일본과 중국에 자라는 것이 미국으로 들어가 개량되어 다시 이쪽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보인다. ♣ 낙상홍이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암수한꽃이고 열매가 다소 작고 잎도 둥근 편인데 이에 비해 미국낙상홍은 꽃이 흰색에 가까운 연두색이고 열매가 굵고 잎은 길죽한 편이다. 두 종 다 키는 2m 정도로 자라고 가지가 적절하게 뻗어서 정원에 심고 겨울을 관상하기에 딱 좋은 나무이다. ♣ 외모는 열매가 굵고 많이 달리는 미국낙상홍이 눈길을 쉽게..
2020.06.20 -
이팝나무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뻣나무, 六道木, Retusa fringetree, Chinese Fringe Tree ♣ 골짜기나 개울 근처, 해변가에서 자라는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원뿌리와 잔근이 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어린 줄기 황갈색으로 벗겨진다. ♣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형 또는 달걀형이고 첨두 또는 무딘형이며 넓은 예형 또는 원저로 길이와 폭이 각 3 ~ 5cm × 2.5 ~ 6cm이다. 표면 주맥 밑부분에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어린 나무의 경우 겹톱니가 있고, 감나무와 비슷한 모양이다. ♣ 꽃은 암수딴그루로 꽃차례는 새 가지에 달리며 길이 6 ~ 10cm로 밑에 잎이 달리고, 꽃대는 길이 7 ~ 10mm로 환절..
2020.06.19 -
약모밀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Thunb. 삼백초(울릉도), 10가지 병에 약으로 쓰인다고 해서 '십약(十藥)', 십자풀, 잎 모양이 메밀과 비슷하고 약으로 많이 쓰여 藥모밀, 전체에서 물고기 비린내가 나므로 '어성초(魚腥草)', 어린초(魚鱗草), 어성채, 취채, 즙이근, 집약초, 즙채, Heartleaf Houttuynia ♣ 제주도와 울릉도, 남부지역의 습지에 자생하며 중부지방에서도 자라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잎과 더불어 털이 없으며 길이 20-50cm로서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있고 몇 개의 세로줄이 있다. 뿌리는 백색이고 연하며 옆으로 길게 뻗는다. 우리 나라에는 1종이 있으며, 외국에서 개발된 원예종으로 무늬변종이 있다. 잎과 줄기에서 악취가난다. ♣ 잎은 어긋..
202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