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과(162)
-
정선황기
#정선황기 Astragalus koraiensis Y.N.Lee 旌善黃芪, Korean milkvetch ♣ 강원도 정선군 임계지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콩과의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이다. 중부 내륙의 냇가나 노지주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30cm내외로 긴 흰털이 있다. 뿌리에서 여러 줄기가 나와 사방으로 비스듬히 벋는다. 강화군, 삼척시,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평창군, 경주시, 영덕군, 울진군, 포항시 등 10여 곳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많지 않다. 함백산과 태백시의 검용소 부근 등지에도 자란다. ♣ 잎은 7-10쌍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타원형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솜털이 있으며, 가장 큰 소엽은 길이 16mm, 폭 8mm이고, 소엽의 끝은 침상이며, 탁엽은 ..
2021.11.02 -
새팥
#새팥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H.Ohashi 산녹두, 삼열엽채두, 돌팥, Wild-red cowpea , ヤブツルアズキ ♣ 원야에서 흔히 자라는 콩과의 1년생으로 덩굴성,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물체에 감겨 올라간다. 전체에 퍼진 털이 있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3출엽이고 탁엽은 방패모양이며 밀모가 있다. 정소엽은 달걀모양으로 길이 3~7cm, 너비 2~5cm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나 때로 얕게 3개로 갈라진다. ♣ 꽃은 8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나와 끝에 2~3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끝에 5개의 톱니가 있고 꽃부리는 나비형이며 용골꽃잎은 2개가 합쳐져서 나선상으로 꼬이고 암술은 윗부분의 한쪽에 ..
2021.10.06 -
차풀
#차풀(茶-) Chamaecrista nomame (Siebold) H.Ohashi 며느리감나무, 山扁豆(산편두) ♣ 전국 각지의 하반(河畔) 산지에 야생하는 콩과 차풀속의 한해살이풀, 높이가 30-60cm이고 흔히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잔털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짝수깃모양겹잎으로서 엽병이 있으며 길이 3-8cm이다. 소엽은 30-70개이고 선상 타원형이며 길이 8-12mm, 나비 2-3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고 첫째 소엽 바로 밑에 선(腺)이 있다. 탁엽은 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7mm로서 밑부분에 맥이 있다. ♣ 꽃은 황색으로 7~8월에 피며 길이 6-7mm로서 잎겨드랑이에서 작은 화경이 나와 1~2송이 달리며 꽃자루끝에 작은포가 있다...
2021.09.26 -
돌동부
#돌동부 Vigna vexillata var. tsusimensis Matsum. 돌팥, 돌팥이, 똘동부, 돈부,돔부, 양대, Seashore black-eye cowpea ♣ 진도, 제주도에 나는 덩굴성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와 엽병에 역향이며 갈색의 퍼진 털이 있다. 뿌리는 비대하고, 곧게 땅 속으로 들어감. ♣ 잎은 어긋나기하고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소엽의 크기가 거의 비슷하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정소엽은 좁은 달걀모양이고 길이 6-10cm, 나비 3-4cm로서 끝이 뾰족하며 작은잎자루가 짧다. 탁엽은 넓은 피침형이고 맥이 뚜렷하며 길이 3-5mm로서 끝이 뾰족하고 작은잎턱잎은 선형이다. ♣ 액생하는 우상모양꽃차례는 길이 10-20cm로서 끝에 2-4개의 꽃이 달리고 꽃..
2021.09.24 -
새콩
#새콩 Amphicarpaea bracteata subsp. edgeworthii (Benth.) H.Ohashi 덩굴돌팥, 돌팥, 새돔부, 여우팥, 여호팥, edgeworth-amphicarpaea, Edgeworth's hogpeanut, Trisperma hogpeanut, ウスバヤブマメ ♣ 들에 나는 덩굴성 콩과의 한해살이풀, 길이 1-2m정도 자라며 역향이며 퍼진 털이 있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소엽은 3개이고 달걀모양이며 정소엽은 길이 3~6cm, 나비 2.5-4cm로서 가장 크고 끝이 둔두 또는 예두이며 퍼진 털이 있다. 탁엽은 길이 3-4mm로서 6개 정도의 맥이 있고 떨어지지 않으며 좁은 달걀모양이다. ♣ 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발달하고 잎보다 짧으며 퍼진 털이 있고 6..
2021.09.22 -
자귀풀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L. 경통초, 梗通草, 수고맥, 水固麥, 전비각, 田鼻角, 거몰자, Indian jointvetch , クサネム ♣ 우리 나라 각처의 낮은 지대의 밭둑이나 습지에 나는 콩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50-80cm로서 줄기는 연하고 윗부분은 속이 비어 있으며 흔히 원줄기, 엽축 및 화경에 반구형의 기반이 있는 잔털이 드문드문 돋는다. ♣ 잎은 엽병이 짧고 20-30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선상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10~15mm, 폭 2~3.5mm로서 뒷면이 분백색이다. 탁엽은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7-12mm로서 약간 윗부분에 달린다. ♣ 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1-2개의 잎과 2-3개의 꽃이 달리며 꽃은 ..
2021.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