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마린드

2020. 2. 9. 20:10꽃피는 마을

#타마린드(Tamarind)




↓꽃(펌)↓↓열매(펌)



Tamarindus indica
메, 타마린드, (베트남)me, Tamarind
♣ 타마린드는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아프리카, 수단, 카메론, 나이지리아, 탄자니아, 아라비아, 오만 등에 야생에서 자생하며, 태국의 Phetchabun 지방의 상징목이기도 한 콩과(Fabaceae) 실거리나무 아과 Tamarindus속의 반상록활엽수, 10~20m, 오랫동안 인도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생장속도가 빠르고 수형이 아름답기 때문에 가로수나 공원수로 식재하며, 심재는 검붉은색으로 재목으로 많이 사용된다. 수피는 어린나무의 경우, 비교적 매끈한 편이지만 환경에 따라 표피가 다소 지저분해지기도 한다. 수명이 긴 관목으로 자귀나무 처럼 저녁이 되면 잎이 모아진다.
♣ 잎은 10~40개의 작은 잎(길이 1.5~2.0cm)들로 이루어져 있다.
♣ 꽃과 과일은 직접 촬영하지 못해서, 인터넷에서 가져온 사진이다.
♣ 타마린드로 잘 알려진 열매는 10~20cm로서 껍질과 과육, 씨앗을 포함하는 갈색 콩으로, 번식은 종자와 꺾꽃이로 하는데, 발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절개를 하기도 한다. 씨앗은 건조한 상태에서도 몇달동안 발아 능력을 유지하며 아시아종은 열매 포드가 길어 6~12개의 씨앗이 들어있고 아프리카종은 열매포드의 길이가 짧아 1~6개의 씨앗이 들어 있다. 겉 껍질안에 씨앗을 감싸고 있는 과육이 식용가능한 부분인데, 껍질이 쉽게 부서져서 과육에 박히면, 일일이 제거해야 된다고 한다. 베트남, 필리핀 등 열대지방에서 재래시장이나 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듯하다.


<STORY>
성숙한 열매의 과육에는 전화당이 30%, 펙틴과 그 밖의 유기산이 15% 정도 들어 있어 날로 먹거나 조미료와 약재로 사용되는데, 달콤하면서도 톡 쏘는 신맛이 특징이다.
또한 동남아 음식에 새콤달콤한 맛을 더해주는 용도로 사용되며 타르타르산, 과당, 비타민 B, 식이섬유, 미네랄 등이 풍부하여 소화작용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여름철 더위 해소에도 좋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어린이들의 완하제, 괴혈병 치료, 카레의 조미료, 청량음료의 재료 등으로 사용된다.


<참고한 사이트 (Referenced Web sites)>
https://vi.wikipedia.org/wiki/M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1912&cid=40942&categoryId=32718
http://www.feedipedia.org/node/249

'꽃피는 마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실나무 '토투어스 드래곤'  (0) 2020.02.16
삼지닥나무  (0) 2020.02.16
극락조화  (0) 2020.02.08
노아시  (0) 2020.02.07
차나무  (0) 202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