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5250)
-
쉬땅나무
#쉬땅나무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개쉬땅나무, 밥쉬나무, 성모진주매, 청쉬땅나무, False spiraea, Sorbaria, Ural False Spirea, ホザキナナカマド ♣ 함경남북도, 평안남북도에서 강원도 백두대간에 분포하며 산골짜기나 냇가에서 군상으로 자라는 장미과 쉬땅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 뿌리가 땅속줄기처럼 뻗음, 높이 2m, 많은 줄기가 한 군데에서 모여나며, 털이 없거나 성모가 존재한다. 뿌리가 땅속줄기처럼 뻗는다. ♣ 잎은 어긋나기하며, 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13 ~ 23개이며, 길이와 폭이 각 6 ~ 10cm× 1.5 ~ 2cm이다. 뒷면에 별모양의 털이 있고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고 겹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 털이 존재한다. ♣..
2023.09.14 -
미나리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근채(芹菜)수근(水芹, 수근채(水芹菜), 수영(水英), 잔잎미나리, 수염뿌리(漢名), Dropwort, Javan Waterdropwort, Oenanthe javanica, セリ ♣ 제주, 지리산, 덕유산, 경북, 충남, 충북, 강원, 평북, 함남, 함북에서 흔히 들의 습지밑 물가에 야생하거나 논밭에서 재배되는 산형과 미나리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30cm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 옆으로 퍼지고 원줄기는 곧게 ㅠ서며 속이 비었고 능각이 있으며 가을철에 기는 가지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번식한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근생엽과 더불어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가면서 점점 짧아지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달걀모양이고 길이 7-15..
2023.09.13 -
어리연꽃
#어리연꽃 Nymphoides indica (L.) Kuntze 금은연, 어리연, 어린연, 으너리, Floatingheart, water-gentian,, Water Snow-Flake, ガガブタ ♣ 경기도 팔당, 충남태안, 낙동강 주남 저수지, 장제늪, 영산강 영동지, 송림제, 평동 저수지, 혜현제, 황룡교, 섬진강 낙수리, 금곡교, 금강 계룡지, 수원, 예산 등 제주도와 남부, 중부지역에 분포하는 조름나물과 어리연속의 다년생 수생초, 원줄기는 가늘며 1m 정도 자라고 1-3개의 잎이 드문드문 자란다. 줄기의 생장은 물의 깊이에 따라 조절 생장된다. 잔뿌리와 수염뿌리가 많이 있다. ♣ 1~3개의 잎이 자라 물 위에 수평으로 뜨는데, 잎자루를 길게 하며 드문드문 자란다. 잎은 원심형으로 직경이 7~20c..
2023.09.13 -
새팥
#새팥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H.Ohashi 산녹두, 삼열엽채두, 돌팥, Wild-red cowpea , ヤブツルアズキ ♣ 원야에서 흔히 자라는 콩과의 1년생으로 덩굴성,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물체에 감겨 올라간다. 전체에 퍼진 털이 있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3출엽이고 탁엽은 방패모양이며 밀모가 있다. 정소엽은 달걀모양으로 길이 3~7cm, 너비 2~5cm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나 때로 얕게 3개로 갈라진다. ♣ 꽃은 8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나와 끝에 2~3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끝에 5개의 톱니가 있고 꽃부리는 나비형이며 용골꽃잎은 2개가 합쳐져서 나선상으로 꼬이고 암술은 윗부분의 한쪽에 ..
2023.09.12 -
메밀여뀌
#메밀여뀌 Persicaria capitata (Buch.–Ham. ex D. Don) H.Gross / Rumex persicarioides Maxim., Rumex chinensis Campd. & Hance 개모밀덩굴, 갯모밀, 갯모밀덩굴, 분홍머리여뀌, 적지리(赤地利), 폴리고눔(polygonum ), 카피타타여뀌, 카피타툼(capitatum), 头花蓼, Pink knotweed, ヒメツルソバ(蔓메밀 교蕎보리 맥) ♣ 중국남부~히말라야 원산으로 남부 지방과 제주의 바닷가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마디풀과 여뀌속 한해살이풀(여러해살이풀), 높이 10∼15cm, 줄기는 길게(50~80cm) 벋으면서 마디마다 뿌리를 내리고 가지를 치며 덩굴 모양이 된다. 줄기 포함하여 식물전체에 털이 있다. ♣ 잎 어긋나..
2023.09.12 -
풀협죽도
#풀협죽도 Phlox paniculata L. 풀유엽도, 프록스, 플록스, 하늘호록수, 협죽초, Annual phlox, garden-phlox ♣ 고향이 북미지역인 꽃고비과 풀협죽도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며 여러 대가 밀생하고 곧게 선다. 많은 원예용 품종들이 개발되어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플록스(phlox)는 꽃고빗과에 속한 플록스속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북아메리카에 50여 종이 자라는데 우리나라에는 풀협죽도, 지면패랭이꽃 등이 재배된다. 재배품종이 많다. 지면패랭이꽃(P. subulata L.)에 비해서 키가 훨씬 크며, 화관의 갈래가 서로 맞붙어 있으므로 구분된다. ♣ 잎은 번갈아가며 마주나거나 3장이 돌려나며, 피침형, 끝이 뾰족, 길이 7-13cm로서 가장자리..
2023.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