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5250)
-
개머루
#개머루 Ampelopsis heterophylla (Thunb.) Siebold & Zucc. 광협포도, 구포도, 견독소(見毒消), 돌머루, 만자, 머래순, 머루덩굴, 멀구덩굴, 사포도, 산머루, 왕개머루, 초용, Amur peppervine, ノブドウ ♣ 원산지는 아시아이며, 전국에 분포하는 포도과 개머루속의 낙엽 활엽 덩굴성, 5m, 나무껍질은 갈색이며 마디가 굵고 속이 백색이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둥글며 점처두, 아심장저이고 3 ~ 5개로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각 4.5 ~ 7(13)cm × 4.5 ~ 8(11)cm로, 각 열편에 둔한 치아모양톱니가 있고, 앞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 맥 위에 잔털있으며, 잎자루 길이 2 ~ 5(7)cm로 덩굴손 잎과 마주나기하며, 2개로 갈라진다. ♣ 취산꽃..
2023.07.08 -
쑥부쟁이
#쑥부쟁이 Aster yomena (Kitam.) Honda 권영초, 마란(馬蘭), 쑥부장이, 왜쑥부쟁이, 푸른산국, Aster yomena, Korean aster, ヨメナ ♣ 양지바르고 부식질이 많으며 배수가 잘되는 절개지나 언덕 또는 척박지에서 잘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띠며, 곧추서고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원줄기가 처음 나올 때는 붉은빛이 강하며 점차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띤다. ♣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 긴타원모양이며 길이는 8~10cm, 나비는 3cm내외이다. 끝은 뾰족하며 밑은 좁아져 엽병처럼 된다. 표면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거친 거치가 있고 위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 꽃은 7∼10월에 연한 자색(혀꽃), 노란색(통상..
2023.07.07 -
돌나물
#돌나물 Sedum sarmentosum Bunge Stringy Stonecrop, ツルマンネングサ ♣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하고 들판이나 산록의 양지 바른 풀밭속에서 또는 바위틈에서 나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길이는 15cm가량되며, 줄기는 땅 위로 뻗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지면으로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지면으로 뻗은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 잎은 3개씩 돌려나기하며 엽병이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고 윗부분이 다소 넓어졌다가 좁아져 둔하게 끝나며 밑부분은 점점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고 길이 1.5-2cm, 폭 3-6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황록색이다.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6-10mm로서 5수이고 높이 15cm정도의 꽃대가 곧추 자라 그 끝에 ..
2023.07.07 -
블루세이지
#블루세이지 Salvia azurea Michx. ex Lam. / Blue Sage, Mealycup sage, Common Sage, Garden Sage, Salvia, Prairie sage, Victoria Blue ♣ 미국 동남부와 멕시코가 원산지인 꿀풀과 (Lamiaceae) 배암차즈기속(Salvia 샐비어속)여러해해살이풀, 줄기는 사각형으로 밀모가 있고 밑부분이 거의 목질화되며 60~80cm 정도로 자라는데 원산지에서는 150cm까지 자란다. 전체에서 향기가 난다. 온실이 아닌 화단이나 정원인 노지에서 재배할 경우 내한성에 약해 춘파성 한해살이풀로 취급된다. (일부 남부지방에서는 노지월동이 가능) ♣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 모양 또는 바소꼴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톱니에 부드러운 파형의 굴곡..
2023.07.06 -
굴피나무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구제비나무, 구종나무, 굴황피나무, 굴태나무, 꾸정나무, 산가죽나무, 심향수구(心香樹球), 화용수, 화향수(化香樹), 화과수(化果樹), 栲, 필률향(必栗香), Cone-fruit platycarya, Chinese Wingnut, ノグルミ野胡桃 ♣ 경기 이남의 표고 50~1,200m의 산지의 산기슭, 산 중턱의 양지쪽에 나며 특히, 수성암(水成岩)겉에서 많이 자라는 가래나무과의 낙엽활엽 소교목, 높이 12m, 직경 53cm이지만 일반적으로 높이 3m, 직경10㎝정도이다. 나무껍질은 회색으로 얕게 갈라진다. 일년생가지는 털이 있으나 점점 없어지며 황갈색 또는 갈색으로서 뚜렷한 껍질눈이 드문드문 있다. 나무껍질은 물에 잘 썩지 ..
2023.07.06 -
하늘타리
#하늘타리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과두근, 과루(瓜蔞), 과루등, 괄루, 괄루자(栝蔞子), 오과(烏瓜), 자주꽃하늘수박, 쥐참외, 천과(天瓜), 천원을(天原乙), 천원자(天圓子), 천을근(天乙根), 천질월이(天叱月伊), 천질타리(天叱他里)큰새박, 하눌수박, 하눌타리, 하늘수박, \chinese-cucumber ♣ 제주, 전남(지리산 삼정리),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남(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남한산성), 황해에 야생하는 박과 하늘타리속의 다년생 덩굴 식물, 지하에 고구마같은 큰 덩이뿌리가 있다. ♣ 잎은 어긋나기하며 단풍잎처럼 5-7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에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표면에 짧은 털이 있다. ♣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피며 화경은..
2023.07.06